반응형 Notes181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꿀팁 계산법 알아서 잘해주시겠지만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낼 때가 되니 돈을 더 받는 것은 아닌지 괜한 의심이 되는터라 아는만큼 보인다고 나도 이 참에 공부를 해보기로 했다. 먼저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사전적정의는 다음과 같다. 부동산 중개 수수료 국어사전에는 '타인의 의뢰에 의하여 토지나 주택의 매매, 교환, 임대차, 기타 권리의 득실 변경에 관한 행위를 알선하고 중개하여 그 대가로 받는 돈'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중개를 하고 그 중개의 대가에 대한 보수를 받는 개념인데 여기서 중개 수수료는 국가에서 법으로 정한 요율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더 많은 돈을 받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서 추가로 알아가야할 점은 부동산 중개를 한 중개사의 고의나 과실로 인해 계약 당사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된 경우 이에 대한 손해.. 2022. 12. 1. HUG 전세금안심대출보증(전세자금대출+전세보증금반환보증)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을 알아보다보면 보증을 취득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취급하는 보증은 전세금안심대출보증(HUG)와 전세자금보증(HF) 두 가지가 있는데 나는 이번에 이사를 가면서 전세금안심대출보증을 하기로 했다. 사실 은행에서 알려주는대로 진행한 절차이기 때문에 결정하고 알아보는 지금의 순서가 잘못되긴 했지만 나처럼 궁금한 사람이 있을까 싶어 알아보기로 했다. 참고하기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대상 금리 한도 기간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알아보기 이사온지도 어느덧 2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개인적으로는 이 집에 더 오래 머무르고 싶었으나, 폭등하는 금리 앞에서 나의 전세대출의 금리도 덩달아 jaysnotes.tistory.com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상 금리 한도 기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2022. 11. 29. 부동산 면적 종류 개념 5가지 알아보기(빌라 거래 필독!) 부동산에 관심을 갖다 보면 전용면적, 공용면적을 시작으로 서비스 면적 등등 왜 이렇게 면적의 탈을 쓴 골치아픈 녀석들이 많아 보이는지. 오늘도 부린이는 열심히 공부를 해봅니다. 한 걸음이라도 더 나아간 부린이가 이제 막 부린이에 입문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작성하는 면적 종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 먼저 우리가 알아야할 면적의 종류는 총 5가지이다. 전용면적, 서비스면적, 실면적, 공용면적 그리고 공급면적. 사실 단어를 놓고 보면 대략적으로 이 면적은 무슨 면적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지만 부동산이라는 것은 워낙 큰 돈이 오가는 거래이기 때문에 나의 짧은 지식이 큰 화를 불러일으키진 않을까 두렵다.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1. 전용면적 첫 번째로 전용면적이란 각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 2022. 11. 28. 공공분양 민간분양 간단 비교 분양에는 두 가지 종류의 분양이 있다. 바로 민간분양과 공공분양이다.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업의 주체가 국가에 있는지 민간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공공분양이란? 공공주택 사업자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지원을 받아 분양을 목적으로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국민주택의 개념은 국가·지방자치단체·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주택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지방공사가 건설하는 주택이나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또는 주택도시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거나 개량되는 주택을 말한다. 국민주택규모란 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이 1호 또는 1세대당 85㎡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우리가 주로.. 2022. 11. 24. 저당권 근저당권 뜻 차이 쉽게 이해하기 부동산 등기부등본을 보게 되면서 저당권이라는 것이 있다는 걸 알게되었다. 근데 사실 근저당권이라는게 있는 것은 알고 있는데 저당권이라고 적혀있어서 나는 단순하게도 근저당권 = 저당권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둘은 엄연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오늘은 이 비슷하지만 다른 두 단어, 저당권과 근저당권에 대해 알아보자. 근저당권과 저당권의 개념 근저당권의 개념: '근저당권'이란 계속적인 거래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불특정 다수의 채권을 장래의 결산기에 일정한 한도액까지 담보하기 위해 설정하는 저당권을 말한다.(민법 제357조) 저당권의 개념: '저당권'이란 채무자 또는 제삼자가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의 점유를 이전하지 않고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에 대해 다른 채권자보다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를 말한다.. 2022. 11. 23. 전매제한 이란?(분양권 기간 해제 증여 매매 예외) 오늘 알아볼 부동산 관련 정보는 '전매제한'이다. 무언가를 제한한다는 뜻인 것은 알겠는데, 그게 뭔지 또 얼마동안 제한당해야하는지 잘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이 녀석들에 대해 깊숙히 파헤쳐보도록 하자. 전매란? 전매란 무엇일까? 전매의 사전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어학사전에서 '전매'는 '샀던 물건을 도로 다른 사람에게 팔아넘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조금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두산백과 사전에의 '전매'의 의미를 가져왔다. 전매, 영어로 Resale이라고 하며 '구입한 부동산을 단기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여 다시 파는 행위'를 말한다. 분양권 전매제한이란? 두산백과 사전에는 콕 찝어서 부동산 관련된 단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특히 이런 전매 행위는 신규 주택을 분양받은 사람이 해당 분양.. 2022. 11. 22.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728x90 반응형